공부 49

[네트워크] IPv6 헤더

이름 비트(bits) 설명 Version 4 IPv6의 버전을 나타낸다. IPv6헤더는 항상 6으로 설정된다. Traffic Class 8 서비스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서비스 우선 순위와 트래픽 클래스를 지정한다. Flow Label 20 같은 플로우의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레이블. 특정한 서비스에 대한 연결성을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Payload Length 16 IPv6헤더와 페이로드(실제 데이터길이)의 길이를 나타낸다. Hop Limit 8 패킷이 호핑할 수 있는 최대 라우터 수 를 제한하는 값이다. TTL(Time To Live)의 역활을 한다. Next Header 8 다음에 따라올 확장 헤더 또는 실제 데이터 종류를 나타낸다. 값은 ICMP, TCP, UDP 등의 프로토콜을 지정한..

공부/네트워크 2024.01.05

[네트워크 TCP & UDP

TCP 헤더 구조 Source Port & Destination Port Sequence Number : TCP 순서번호를 표시 Length :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한 전체길이 Checksum : 에러 제어를 위한 필드 Ack : 확인 응답 Offset: TCP헤더 길이를 4바이트 단위로 표사 Flags : 제어비트로서 세그먼트 종류 표시 Windows Size : 상대방확인 없이 전송할 수 있는 바이트 수 UDP 헤더 구조 Source Port : 데이터를 보내는 송신측의 응용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한 포트 Destination Port : 데이터를 받는 수신측의 응용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한 포트 Length :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한 전체길이 Checksum : 전송중 시그먼트 손상을 확인

공부/네트워크 2023.12.28

[네트워크]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마스크 - IP Address에서 네트워크와 호스트를 구분하는 것 - 목적지 호스트가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 확인 - 필요한 서브넷의 수를 고려하여 서브넷 마스크 값을 결정 - 서브넷 마스크의 Network ID를 이진수 1로, HOST ID는 이진수 0 으로 채운다 - 서브네팅이란 주어진 IP주소를 필요에따라 여러개의 서브넷으로 분리하는 작업 -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면 트래픽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

공부/네트워크 2023.12.28

[네트워크] IP Address 주소 체계

IP Address 란? - IP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장비가 가지고 있는 주소 - 송신자와 수신자가 각각 IP주소를 가지고 있음 - IP주소를 읽어서 최적의 경로를 결정 - IP는 32비트로 구성된 IPv4와 128비트로 구성된IPv6가 있다 - TCP/IP망의 네트워크계층의 주소화, 데이터그램 포맷, 패킷 핸들링 등을 정해놓는 인터넷 규약 IPv4 주소체계 A = 옥텟비트 0 - 1.0.0.0 ~ 126.255.255.255 / 127.0.0.0 => 루프백 테스트용 B = 옥텟비트 10 - 128.0.0.0 ~ 191.255.255.255 C = 옥텟비트 110 - 192.0.0.0 ~ 223.255.255.255 D = 옥텟비트 1110 - 224.0.0.0 ~ 239.255.255.255 [멀티..

공부/네트워크 2023.12.28

[네트워크] 멀티플렉싱(다중화 기법)

멀티플렉싱 기법이란 - 여러 단말 장치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회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측에서는 신호를 분리하여 입출력 할 수 있는 방식. - 하나의 통신회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회선과 모뎀을 절약 멀티 플렉싱의 종류 FDM : 주파수를 다수의 작은 대역폭으로 분할 전송하는 방식 TDM : 시간을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 WDM : 파장을 나눠서 전송하는 방식 CDM : 코드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 다중화 전송의 장점 - 전송 효율 극대화 - 전송설비 투자비용 절감 - 통신 회선설비의 단순화 다중화 장비의 특징 - 두 개 이상의 단말장치들이 하나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결합된 형태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신호를 경합하여 물리적 회선이나 데이터 링크를 통하여 전송해 주는 시스템 ..

공부/네트워크 2023.12.28

[네트워크] 데이터 흐름제어와 ARQ

데이터 흐름 제어(Flow Control) - 호스트와 호스트간의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법 -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 수신측이 송신측 보다 속도가 빠른것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 송신측이 수신측 보다 속도가 빠르면 문제가 발생한다 Stop And Wait : 매번 전송한 패킷에 대해 확인응답을 받아야만 그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 XON/OFF : 데이터 전송라인을 통해 제어신호를 보내는 방법으로, XON은 전송개시를 OFF는 전송중단을 의미 Sliding Window : 수신측 에서 설정한 크기만큼 송신측에서 확인응답 없이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것 ARQ오류 검출방식(Automatic Repeat reQuest) 에러가 발생한 경우 자..

공부/네트워크 2023.12.28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

데이터 전송제어 절차 통신 회선을 매개로 하여 데이터를 목적하는 장치에 원활 하게 전송하기 위하여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간에 필요로 하는 절차 1. 데이터 통신 회선의 접속 - 통신회선과 단말기의 물리적 접속 2. 데이터 링크 설정(확립) - 논리적 경로를 구성 3. 정보 메세지 전송 - 수신 측 전송 및 오류제어와 순서확립 4. 데이터 링크 종결(해제) - 논리적 경로를 해제 5. 데이터 통신 회선 절단 - 물리적 접속 절단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 회선연결 -> 링크설정 -> 데이터 전송 -> 링크해제 -> 회선해제 전송중 에러 - 노이즈 : 송수신 과정에서 추가된 불필요한 신호. - 감쇠 : 데이터가 회선을 통하여 전송되는 도중 신호가 약해지는 현상 - 혼선 : 서로 다른 전송로에 상이한 신호가 다른 회..

공부/네트워크 2023.12.28

[네트워크] IEEE802 표준

IEEE 802.2 : LLC[논리링크제어] IEEE 802.3 : Ethernet,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ollision Detection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고 신호를 전송한다. 이미 다른 신호 전송이 진행중이라면, 랜덤 시간만큼 대기한다 충돌이 감지되면, 충돌한 데이터들은 버려지고 데이터 재전송을 요구한다 버스 구조에서 사용된다 Ethernet기반의 네트워크 기술이다 IEEE 802.4 : Token Bus IEEE 802.5 : Token Ring IEEE 802.11 : 무선 LAN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s / Collision Avoidance) 충돌을 피하는..

공부/네트워크 2023.12.28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기능

프로토콜의 기능 단편화(Segmentation)와 재조립(Reassembly) : 데이터를 자르는것과 합치는것 캡슐화(Encapsulation) : 은닉/ 안정성(파손방지), 제어정보(Header)를 부착한다, 보안 연결제어(Connection Control) : 연결형 제어_TCP , 비연결형 제어_UDP 흐름제어(Flow Control) : 빠른송신자와, 느린 수신자와의 속도 제어 오류제어(Error Control) : 수신자가 고쳐쓰는방법, 재전송요청 동기화(Synchronous) : 동기식 Synchronous 시간대를 맞추는 것 / 비동기식 Asynchronous 데이터가 들어오는 순서대로 주소지정(Addressing) : 캡슐화할때 제어정보를 부착하는데 그곳에 주소정보를 넣는다 IP주소(3계층..

공부/네트워크 2023.12.27